영화 몬도비노, 신의 물방울 포도주전쟁, 보르도와인을 '파커 맛 와인' ?
영화 몬도비노, '신의 물방울' 포도주전쟁, 프랑스 보르도와인을 '파커 맛 와인' ?
france-프랑스 보르도 와이너리
프랑스 남서부에 위치한 세계 최대의 고급 와인 산지인 보르도(Bordeaux)는 ‘Au bord de l'eau' (물 근처)라는 뜻에서 유래 하였다고 하듯 지리적으로 지롱드(Gironde)강과 2개의 지류(도르도뉴강, 갸론강)와 언덕과 낮은 구릉지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멕시코 난류의 영향으로 따뜻하고 온화한 해양성 기후와 샤토 (Château)로 명명되는 성, 대저택이란 프랑스어로 포도원에 위치한 저택과 양조장, 포도밭까지 함께 지칭하는 단어로서 포도원에서 수확한 포도로 양조 후 병입, 출하까지 하는 와이너리가 보르도 지역에 형성되어 좋은와인을 생산하고 있다.
영화 몬도비노(Mondovino), 포스터
영화 몬도비노(Mondovino)
자본과 첨단기술로 무장한 대기업이 세계 와인시장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보여주는 기록을 세 개의 대륙과 세계화 물결을 배경으로 ‘신의 물방울’ 와인 무역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다.
미국 와인업계의 전설적 인물인 로버트 몬다비가 설립한 와인회사의 이름을 딴 영화 제목인 '몬도비노'는 요지경 와인시장과 와이너리를 그린 다큐멘터리 영화로 ‘소믈리에’ 이기도 한 조나단 노지터 감독은 2001년 몬다비사가 프랑스 남부 랑그독 지방에 포도밭을 매입하려다 실패한 사건에 관심을 갖고 3년 동안 미국, 이탈리아, 프랑스, 브라질 대륙을 횡단하며 만들었다.
영화 '몬도비노' 스틸컷
인터뷰 형식의 다큐멘터리 영화로 135분이라는 시간은 지루할 수 있으나 와인에 대한 관심이 있는 사람은 낯익은 실제 와인업계 사람들의 등장이 꽤 흥미로울 것이다.
영화 속에서 등장하는 와인 전문가이면서 평론가인 미셸 롤랑과 로버트 파커의 인터뷰도 볼 수 있다. 미셸 롤랑은 프랑스 보르도뿐만 아니라 세계 12개국 100개 이상의 와이너리에 와인 메이킹 컨설팅을 하는 와인계의 중요인사로 Mondavi사의 랑그독 진출을 옹호했던 인물 중 하나였다. 그리고 로버트 파커는 보르도 와인을 대중적인 와인으로 세계에 전파했고 그 결과 와인 시장의 판도를 결정하는 인물이 되었다.
vineyard-캘리포니아 나파 밸리 소노마
평론가 로버트 파커 Robert Parker
로버트 파커(Robert M. Parker Jr.)
기존의 유럽의 평가 체계인 20점 만점 기준과 정성적 분석을 기술하는 형태를 100점 만점에 익숙한 미국 사람들이 쉽게 그 의미를 알기 쉽게 최초로 100점 만점의 와인 평가 시스템을 개발하여 와인의 맛과 향 등 와인 품질에 대한 평가를 소비자들이 보다 쉽게 인식하도록 했고 와인 전문 잡지인 와인 애드버킷(Wine Advocate) ‘와인 옹호자’를 1978년 창간하여 운영해오고 있는 유명한 와인 평론가
로버트 파커(Robert M. Parker Jr.) 평가 시스템
- 96–100 Extraordinary : 예외적인, 깊이와 복합성이 특출 나고 뛰어난 빈티지와인
- 90–95 Outstanding : 아주 뛰어난, 월등한 복합성을 지닌 훌륭한 와인
- 80–89 Barely above average to very good : 평균 이상, 향과 세련미가 있는 와인
- 70–79 Average : 평균, 깊이와 복합성은 부족하지만 평균적인 와인
- 60–69 Below average : 평균 아래, 신맛과 타닌이 과하며 특별함이 없는 와인
- 50–59 Unacceptable : 수용 불가, 균형이 맞지 않는 결함이 많은 와인
기본점수는 50점이고, 70점 아래는 평균 아래는 !
와인 다큐멘터리 '몬도비노(Mondovino)'의 감독 조나단 노지터(Jonathan Nossiter)는 그의 영화에서 '와인이라는 것은 그 순간적인 맛을 표현할 수 있겠지만 그것이 본질은 아니다. 와인은 계속 살아 숨 쉬고 있기 때문에 스치는 바람으로도 그 맛은 변하게 되어있다. 따라서 파커의 점수는 말할 것도 없고, 와인의 최종적인 품질을 수치로 평가하는 행위는 이 지구상에서 하고 있는 가장 멍청한 짓이다' 말하고 있다.
영화, Natural-Resistance 포스터
다큐 'Natural Resistance’
'몬다비노'(Mondovino) 출시 10년후인 2014년 Jonathan Nossiter 감독은 또 하나의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는데 몬다비노가 숨겨진 뒷이야기 고발 다큐멘터리였다면
'Natural Resistance'는 성공을 이야기하는 훈훈하고 긍정적인 시각으로 제작되었다. 이 영화에 출연하는 '내추럴 레지스탕스'는 이태리의 토스카나 와인생산자를 배경으로 한다.
bordeaux-보르도 와이너리 saint emmilion
평론가 로보트파커 Robert Parker의 좋은 와인
1.Complex, 복합적, 일차원적인 수준을 넘어선 여러 차원의 향기와 풍미를 가진다.
2. 강도 높은 향과 미묘한 느낌으로 시음자의 관심을 붙잡을 수 있어야 한다.
3. 밸런스를 유지하면서도 강렬한 향기와 풍미를 가져야 한다.
4. 위대한 와인은 시간이 흐르면서 더욱 미묘하고 복합적인 향기와 풍미를 드러낸다.
5. 위대한 와인은 숙성되면서 그 품질이 더욱 향상된다.
6. 다른 와인과 뚜렷이 구별되는 독창적인 개성을 지닌다.
7. 생산지역 (테루아, Terroir))의 특성을 반영한다.
8. 위대한 와인은 와인메이커의 열정과 사명감으로 결정되고 반영된다.
조나단 노지터 감독은 외부로부터 단단히 문을 걸어왔던 와인 세계의 이면을 비추기 위해 캘리포니아와 플로랑스의 억만장자들의 집을 방문, 영향력 있는 비평가들과 와인운송 상인 등 와인업계의 스타들을 직접 만나는 열정 끝에 이 영화를 완성했다.
이 영화는 와인과 함께해온 서양문명의 오늘을 비추고 있어 와인을 전혀 모르는 이에게도 현대 와인시장의 거대자본유입과 그 폐단에 대해 어느 정도의 공감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매력을 지닌 다큐 영화로 감독의 이러한 의지는 2004년 칸 영화제 최우수 다큐멘터리 영화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해외여행 (와인, 커피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페인 와인, 리오하 (Rioja) 중세 성곽마을에서 만나는 와인의 성전 (0) | 2018.11.06 |
---|---|
이태리여행, 영화 펠리니를 찾아서 In Search of Fellini, 그리고 카푸치노 (0) | 2018.11.01 |
영국, 커피문화 '팁 (Tip)'의 시작, 런던 커피 명소 monmouth coffee (0) | 2018.10.26 |
독일 대문호 괴테가 사랑한 화이트와인, 그리고 디카페인 커피 탄생 (0) | 2018.10.18 |
독일여행, 전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리슬링 화이트와인 생산국 (0) | 2018.10.18 |